안녕하세요 삼 남매 엄마입니다!
이번 주제는 아이들 심리를 미술로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.
저도 삼 남매를 키우면서 도대체 얘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나~ 할 때가 많거든요.

이번 주제를 공부하며 저에게도 도움이 되었는데, 여러분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쓰게 되었으니 집중하여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^^
1. 색깔 선택 분석
아이들이 사용하는 색깔은 그들의 현재 감정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. 색깔은 심리적, 정서적 반응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.
1.1. 색깔의 의미
- 붉은색: 강렬하고 에너지가 넘치는 색깔로, 아이가 자신감이 넘치거나, 분노와 같은 강한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- 파란색: 차분하고 안정감을 주는 색깔로,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거나 감정을 진정시키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.
- 노란색: 밝고 활기찬 색깔로, 아이가 행복하고 즐거운 기분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- 녹색: 균형과 안정의 색깔로, 아이가 평화롭고 조화로운 상태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- 검은색: 슬픔이나 불안, 고립감을 표현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, 때로는 성숙한 감정을 표현하기도 합니다.
1.2. 색깔 선택의 의미
- 강조된 색깔: 아이가 특정 색깔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, 그 색깔에 대한 감정이나 심리가 강하게 반영될 수 있습니다.
- 배제된 색깔: 특정 색깔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, 그 색깔에 대한 거부감이나 무관심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요점 정리: 색깔의 의미
색깔의미
붉은색 | 에너지, 자신감, 분노 |
파란색 | 안정감, 감정 진정 |
노란색 | 행복, 즐거움 |
녹색 | 평화, 조화 |
검정색 | 슬픔, 불안, 고립감 |
2. 그림의 형태와 구도 분석
아이들이 그린 그림의 형태와 구도는 그들의 감정 상태와 생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2.1. 그림의 형태
- 기하학적 형태: 직선이나 각진 형태는 규칙과 질서를 중시하는 아이의 성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- 자유로운 형태: 곡선이나 비정형적인 형태는 창의성과 개방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
2.2. 구도의 배치
- 중앙 집중형: 그림의 중심에 중요한 요소를 배치하는 것은 자신감과 주목받고 싶어 하는 욕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.
- 가장자리 배치: 그림의 가장자리에 주요 요소를 배치하는 것은 불안감이나 자신감 부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요점 정리: 그림의 형태와 구도
형태의미
기하학적 형태 | 규칙과 질서, 안정성 |
자유로운 형태 | 창의성, 개방성 |
중앙 집중형 | 자신감, 주목받고 싶어하는 욕구 |
가장자리 배치 | 불안감, 자신감 부족 |
3. 그림의 색조와 채도 분석
색조와 채도는 감정의 강도와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. 아이들이 사용하는 색의 밝기와 강도는 그들의 감정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.
3.1. 색조의 의미
- 밝은 색조: 밝고 경쾌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며, 아이가 긍정적이고 행복한 감정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.
- 어두운 색조: 우울감이나 불안, 스트레스를 나타낼 수 있으며, 아이가 현재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있을 수 있습니다.
3.2. 채도의 의미
- 강한 채도: 강렬한 감정 상태를 표현할 수 있으며, 자신감과 강한 에너지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.
- 약한 채도: 감정이 둔화되거나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, 아이가 지쳐 있거나 감정적으로 소극적일 수 있습니다.
요점 정리: 색조와 채도의 의미
색조의미
밝은 색조 | 긍정적, 행복한 감정 |
어두운 색조 | 우울감, 불안, 스트레스 |
채도의미
강한 채도 | 강렬한 감정 상태, 자신감 |
약한 채도 | 감정 둔화, 불안정, 소극적 상태 |
4. 그림의 내용과 주제 분석
아이들이 그리는 그림의 내용과 주제는 그들의 심리적 관심사와 현재 상태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.
4.1. 자아 표현
- 자신의 모습: 자아를 표현하는 그림은 아이가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거나 자아 존중감을 확인하려는 노력일 수 있습니다.
- 가족과 친구: 가족이나 친구를 그린 그림은 사회적 관계와 애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4.2. 상상력과 창의성
- 상상의 세계: 상상 속의 캐릭터나 장면을 그린 경우, 아이의 창의성과 상상력이 풍부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.
- 현실적인 그림: 현실적인 주제를 그리는 경우, 아이가 현실을 잘 이해하고 처리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요점 정리: 그림의 내용과 주제
주제의미
자아 표현 | 정체성 탐색, 자아 존중감 |
가족과 친구 | 사회적 관계, 애착 |
상상의 세계 | 창의성, 상상력 |
현실적인 그림 | 현실 이해, 문제 해결 능력 |
결론
미술을 통한 아이들의 심리 분석은 색깔, 형태, 구도, 색조와 채도, 그림의 내용과 주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. 각각의 요소는 아이들의 감정 상태와 심리적 요구를 반영하며, 이를 통해 아이들의 내면을 이해하고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접근 방법은 아이들의 정서적 복지를 향상하고, 건강한 심리적 발달을 돕는 데 유용합니다.